시가 총액 (Market Capitalization, Market cap)
시가총액은 쉽게 말해 이 기업이 얼마 짜리 기업인가를 의미한다. 주식 1주당 가격에 발행된 주식 수를 곱해서 계산된다.
= 주식 1주당 가격 X 주식 발생수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해당 기업을 인수한다면 얼마를 지불해야 하는가... 해당 기업을 인수하고자 한다면, 가지고 있는 부채도 지불해야 하므로 부채도 더한다.
= 시가총액 + 부채 - 기업이 보유한 현금
기업 가치와 관련된 몇 가지 지표를 정리해 보겠다. 기본적으로 그 기업의 시가 총액 대비 그 기업의 매출 또는 순이익, 자산을 비교하여 가치를 산출하는 거 같다.
PER (Price Earning Ratio)
PER = 시가총액 / 순이익 = 주식 1주의 가격 / EPS(주당 순이익)
PER 는 시가총액이 회사의 순이익의 몇 배인가 를 의미한다. PER 10 의 의미는 해당 기업의 시가 총액이 순이익의 10 배라는 의미
주식 가치가 고평가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잣대
PSR (Price Sales Ratio)
PSR = 시가총액 / 매출액 = 주식 1주의 가격 / 주당 매출액
PSR 은 시가 총액이 매출액의 몇 배인가를 의미한다. PER 과 마찬가지로 주식이 고평가 되었는지 알 수 있는 잣대이다.
신생기업이나 테크 기업들의 경우 순이익은 마이너스인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이 때는 PSR 을 참고하기도 하는 거 같다...
PBR (Price Book-value Ratio)
PBR = 시가총액 / 순자산 = 주식 1주의 가격 / 주당 순자산
주가가 순자산 (자기자본금 + 자본잉여금 + 이익잉여금) 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 되고 있는가 를 의미한다.
ROE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 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기업이 자기자본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를 의미하며, 수익성을 대표하는 지표이다.
ROA (Return on Asset)
총 자산 이익률 = 당기순이익 / 총 자산 x 100
기업이 총 자산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
ROE 가 내 자본만 가지고 얼마나 이익을 벌였나면, ROA 는 내 자본과 남의 돈 (i.g. 부채) 을 가지고 얼마의 이익을 벌어들였는지 보여주는 지표
EPS (Earning per share)
EPS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 수
주식 1주당 순이익이 얼마인지 보여주는 지표
EPS (1주당 순이익) x PER (1주당 순이익 비율) = 주가
PEG Ratio
PER 에 성장성의 개념이 추가된 개념...
PEG Ratio = PER / (EPS 성장률 (3~5년 연 평균 EPS 성장률) X 100)
PEG Ratio 가 낮다는 것은, 성장률은 좋은데 주가가 저평가 되어 있다는 의미, 반대로 PEG Ratio 가 높다는 것은 실적대비 고평가 되어 있다는 의미
EV /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기업가치(EV) 를 EBITDA (이자, 세금, 감가상각비를 제외한 당기순이익) 로 나눈 값
PER 와 비슷하게 영업이익 대비 기업 가치가 얼마나 고평가 되어 있는지를 보기 위함
Seeking Alpha 에서 AAPL 검색
위 지표들을 실제적으로 검색해 보았다. 애플로 검색한 결과이고, 2023년 11월 기준이다.
Valuation 탭 (PER, PSR, PBR, PEG Ratio, EV/EBITDA)
- PER 는 Sector Median 보다 다소 높은 정도이나 PSR 은 Sector Median 대비 꽤 높은 거 같다.
- PEG Ratio 가 92.9 로 굉장히 높은데...
Financials 탭 매출 (Revenue) 및 순이익 (Net income), EPS
Growth 탭
- EPS Growth (YoY 와 FWD 모두 확인 가능)
- 주당 순이익 성장률이 낮았던 거 같다..
- 아까 확인한 PER (P/E GAPP (TTM) 30.41 에서 EPS 성장률을 나눠보면 PER GAPP (TTM) 92.9 와 유사하게 나오는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