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6

[환율] 환율 전쟁의 역사 환율 전쟁이란? 각 나라들이 수출 경쟁력을 유지할 목적으로 자국의 통화 가치를 인위적으로 개입하여 떨어뜨리는 행위 환율 전쟁의 역사 1985년 플라자 합의 - G5 (프랑스, 독일, 일본, 미국, 영국) 재무 장관과 중앙은행 총재들이 미국의 무역 수지 적자 개선을 위해 달러 가치 하락과 엔화, 마르크화 강세를 유도하기로 합의 - 이후 일본 엔 가치가 크게 상승하여 일본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이 악화되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돈을 대폭 풀었는데 이는 자산 가격 급등으로 이어지고, 이후 금리를 인상하자 버블이 붕괴 되었다. 이는 90년대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로 이어지게 되었다. 2008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국과 일본의 대응 - 2008년 미국에서 글로벌 금융 위기가 발.. 2023. 10. 19.
[환율] 환율과 다양한 변수들과의 관계 환율과 금리의 관계는? 1. 원화 가치가 상승하면 금리는 하락한다. 원화 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국제 수지, 특히 경상 수지 인데, 경상 수지가 흑자를 내면 외환 시장에 달러 공급이 늘어나므로 달러 가치는 떨어지고 원화 가치는 오른다. → 원화 가치가 상승하므로 원자재를 싸게 수입할 수 있다. 물가 상승률이 낮아진다. → 명목 금리는 실질 금리와 물가 상승률의 합이므로 물가가 떨어지면 명목 금리도 하락하게 된다. * 명목 금리 = 실질 금리 + 물가 상승률 2. 금리가 오르면 시차를 두고 원화 가치가 상승한다. 미국 중앙은행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한국은행이 금리를 올린다면 달러가 우리 시장으로 유입된다. 달러 가치는 하락하고 원화 가치는 상승한다. 그러나 위 관계가 수학 공식처럼 절대적.. 2023. 10. 19.
[금리] 통화와 금리의 관계, 금리와 주식, 부동산, 환율과의 관계 통화와 금리의 관계 (통화량 증가 가 금리 하락으로 이어지는가?) 돈을 풀게 되면 금리가 하락하는가? 단기적으로는 하락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이전 수준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다. 1. 유동성 효과 (Liquidity effect) 중앙은행이 돈을 풀면 시중은행으로 돈이 유입된다. → 시중은행은 이 여윳돈으로 가계나 기업에 대출을 좀 더 낮은 금리로 해주려 한다. → 시중은행은 또, 이 여윳돈으로 채권을 산다. 채권 시장에서는 수요가 늘어 채권 가격이 상승한다. 채권 가격과 금리는 반 대로 움직이므로 은행이 채권을 앞다투어 사게 되면 금리는 하락한다. 2. 소득 효과 (Income effect) 금리가 떨어지면 가계의 소비가 증가하고 기업의 투자가 증가한다. (금리는 경제학 교과서의 정의에 따르면, '.. 2023. 10. 19.
Python | while 반복문 정리 파이썬을 배우기 시작할 때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while 반복문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or 반복문과 같이 비교해 보면서 공부해 보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while 반복문이란? 특정 조건에 따라 반복되는 반복문이며 조건이 참인 경우 무한 반복되고, 조건이 거짓이면 종료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syntax 는 하기와 같습니다. while 조건식: 실행문 보통 while 문 시작 전 변수를 설정하고 변수를 이용해 조건식을 만든 후 실행문에선 변수를 이용해 사칙연산 또는 함수를 이용합니다. 이 때, 조건식이 참(True) 일 경우 while 문은 계속 돌아가게 됩니다. 밑에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조건은 x =10 조건을 충족시켜 break 가 걸리고 while 반복문을 빠져나오게 .. 2023. 10. 13.